나에게 건축물이란 인간의 삶의 형태와 인간 자체 이해할 수 있는 도구이다.
첫 개인전을 가졌던 2002년부터 화폭에 자연 대신 오래된 건축물을 담는 것에 일관된 관심을 가져 왔다. 도시의 외관 혹은 건축물을 묘사하되 형식과 외관만을 남겨 놓는 방식으로 캔버스 위에 수묵작업을 지속해 온 것이다. 동양화하면 떠오르는 일필휘지가 아니라 아교를 바른 캔버스 위에 색채는 사용하지 않고 흐린 먹으로 드로잉 하듯이 진하게 쌓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캔버스 상 건축물 풍경은 서사의 가능성을 줄만한 인간이나 풍경적 요소는 등장하지 않는다. 또 건물의 그림자나 조명의 반사빛이 유난히 강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형태들은 마치 무중력적 공간에 떠 있어 건축물이 놓인 현실적 맥락이 제거되며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그림자들은 존재의 ‘실체’ 보다도 더 거대한 무게를 지니는 ‘비실체’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이다. 서울 세운상가의 오래된 건물, 홍콩 특유의 퇴색된 아파트에서부터 위계질서에 바탕해 구축된 종교적 건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건축물을 통해 도시의 건축상, 이미지의 허구성 및 환상, 실재와 비실재등에 관하여 탐구해왔다.
최근의 관심사는 역사적 의미에서 어떤 면으로는 아픈 기억으로 덮어두고 있는 우리의 근대 건축물들이다. 광화문을 중심으로 역사를 간직한 채 혼재되어 있는 사대문과 조선의 궁들, 그리고 근대를 대변하는 건축물들이다. 근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들은 우리 근대의 상징이다. 중앙청으로 불리던 과거의 조선총독부는 이미 철거되었지만, 우리의 기억에 남아있는 역사의 한 부분이었다. 조선의 역사를 단절시키기 위해 지어졌던 건축물. 그리고 현재 그 용도와는 달리 다른 목적을 수행하고 있는 건축물들을 통해 아픈 역사의 흔적들을 간접적으로 우회하여 표현하였다. 건축물의 흔들리는 이미지들은 시간이 지나면 금세 잊어버리는 역사의식의 비판이자 현재를 사는 사람들이 결코 과거는 없었다는 듯 살아가고 있는 단절을 표현해 낸 것이다. 또한 익숙하지만 낯선 기념비인 종교건축물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사실은 오래된 건축물들에 대한 애정에서 시작되었다. 종교건축물은 그 지역과 시대의 역사와 문화가 총망라되어있는 총체적 상징이며, 당시의 삶과 생활상을 오롯이 담고 있는 기념비로, 세계의 중심에 있는 위대한 공간이다. 삶의 깊숙한 곳에 항상 존재하는 익숙한 세속적 공간이지만, 절대자의 성스러움과 경외감을 드러내는 낯선 공간이기도 하다. 공간감과 서사가 철저히 무시된 평면 위에 성당 등 건축물의 외형을 수없이 중첩된 선으로 구현한다. 가느다란 한 줄의 선은 하나하나 켜켜이 쌓이며 중첩되고, 하나의 형태를 완성시킨다. 시간이 흐르면서 발전하고 기호와 상징이 되고 형태와 양식(Form)이 되어 하나의 건축물을 이루었듯 무수히 많은 선을 그리고 그리는 과정 안에서 시간은 중첩되고 압축되어 정지된 화면 위에 드러난다. 수없이 중첩된 선 사이에 압축된 시간의 주름들이 나타날 것이다.
-
To me, architecture is a tool for understanding the form of human life and human beings themselves.
Since 2002, when I had my first solo exhibition, I have had a consistent interest in depicting old buildings instead of nature on canvas. Ink-and-ink work on canvas has been continued in a way that depicts the exterior of the city or its buildings, leaving only the form and appearance. Rather than using the single strokes that come to mind when thinking about oriental painting, the work is done by thickly building up the canvas as if drawing with cloudy ink, without using color, on a glued canvas. The architectural landscape on the canvas does not contain any human or landscape elements that could provid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 Another feature is that the shadows of buildings and the reflections of lights are particularly emphasized. The forms seem to float in a weightless space, eliminating the realistic context in which the building is placed, and the shadows that are commonly emphasized are a constant question about the ‘non-entity’ that carries a greater weight than the ‘substance’ of existence. We have explored the city's architecture, the fiction and fantasy of images, and reality and unreality through a variety of buildings, from the old buildings of Seun Shopping Center in Seoul and faded apartments unique to Hong Kong to religious buildings built based on hierarchy.
A recent interest is in our modern buildings, which in some ways are covered with painful memories in a historical sense. Centered around Gwanghwamun, the four main gates and palaces of the Joseon Dynasty are mixed together while retaining history, as well as buildings representing modern times. Buildings that represent modern times are symbols of our modern times. The former Joseon Government-General, known as Central Office, has already been demolished, but it was a part of history that remains in our memories. A building built to cut off the history of Joseon. And the traces of painful history were indirectly expressed through buildings that currently serve a different purpose than their original purpose. The shaking images of buildings are a criticism of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is quickly forgotten as time passes and an expression of the disconnect that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live as if the past never existed. Additionally, my continued interest in religious buildings, which are familiar yet unfamiliar monuments, actually began with my love for old buildings. Religious buildings are a comprehensive symbol that encompasse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and era. They are monuments that contain the life and lifestyle of the time, and are great spaces at the center of the world. It is a familiar secular space that always exists deep in life, but it is also an unfamiliar space that reveals the sacredness and awe of the Absolute. The external appearance of buildings such as cathedrals is realized with countless overlapping lines on a flat surface that completely ignores the sense of space and narrative. One thin line stacks and overlaps one by one, completing one form. Just as it develops over time and becomes signs and symbols, shapes and forms to form a single building, in the process of drawing and drawing countless lines, time is overlapped and compressed and revealed on a still screen. Wrinkles of compressed time will appear between countless overlapping 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