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병건.
심병건의 스테인리스 작품들은 우리들에게 낯설고도 친근한 이중의 감정을 선사한다. 기지와 미지의 골을 따라 유영하듯 안과 바깥을 뒤집고 다시 또 뒤집는 경험을 제공한다. 마치 뫼비우스 띠의 경험과도 같다. 이는 금속재라는 차갑고 딱딱한 느낌의 소재를 마치 비누조각인 듯 부드럽게, 종이조각인 듯 쉽게 구겨지게 다루는 데서 생겨난 결과로부터 온 것이 틀림없다. 작가는 이를 Pressed Drawing이라 부르는데, 드로잉만큼의 자유자재에 도달하고자 하는 분명한 조형적 목표를 드러낸다.
-
Shim Byeong-gun.
Shim Byeong-gun's stainless steel works give us a dual feeling of being both unfamiliar and familiar. It provides the experience of turning inside and out and turning over again, as if swimming along a known and unknown goal. It’s like the Möbius strip experience. This must have come about as a result of handling the cold, hard material called metal gently as if it were a piece of soap and easily crumpled as if it were a piece of paper. The artist calls this Pressed Drawing, and it reveals a clear formative goal of reaching as much freedom as drawing.
-
이익렬.
화면 전반은 대지 위에 작물이 익어가는 시간 차에 따른 색의 변화를 내려다 본 ‘Top View’에서 착안, 스퀴즈로 물감의 혼합을 밀어내느 우연성과 의도적인 드로잉을 병행했다. 스펙터클한 탑뷰(위성뷰, 항공뷰)는 모든 시스템을 계획하는 설계도를 의미하며, 진화와 발전을 멈추지 않는 인류의 본성, 비전과 과정의 스토리이다. 이러한 인공적인 메카니즘과 우연성이 만나 예상치 못한 시스템과 관계의 다양성이 생겨나고, 그럼에도 사랑과 희망을 기대하는 인류와 자연의 진취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
Lee Ik Ryeol.
The overall screen was inspired by the ‘Top View’, which looked down on the change in color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as crops ripen on the land, and used a combination of accidental and intentional drawing to push out the mixing of paints with a squeeze. The spectacular top view (satellite view, aerial view) represents a blueprint for planning all systems, and is the story of the nature, vision, and process of humanity that never stops evolving and developing. When these artificial mechanisms and contingencies meet, unexpected diversity of systems and relationships arises, and we want to talk about the progressiveness of humanity and nature that still expect love and hope.
-
장신정.
나는 예술을 통해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를 추구한다.
캔버스 강박을 무심히 바라보고
점과 선과 색 사이에서 찰나에 드러나는 무한한 자유.
나는 그 자유를 매개로 표면에 드러나는 모습들과 내면의 숨겨진 세계를 넘나 들며 유희하고 싶다. 캔버스에 아크릴 물감을 주로 사용하며 잉크, 오일 파스텔, 목탄, 연필 등을 자유롭게 믹스한다. 표현 기법으로는 기존의 관념과 형식으로부터의 일탈을 추구하며 작가 내면의 세계가 찰나의 순간 즉흥적으로 화폭에 드러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오토마티즘 기법을 사용한다.
-
Jang Shin Jeung.
I pursue freedom across boundaries through art. The infinite freedom that is revealed in an instant between dots, lines, and colors by looking indifferently at the canvas. I want to use that freedom as a medium to play between the appearances revealed on the surface and the hidden world within. I mainly use acrylic paint on canvas and freely mix ink, oil pastel, charcoal, and pencil. As an expression technique, he pursues a departure from existing ideas and forms, and uses automatism techniques to allow the artist's inner world to be spontaneously revealed on canvas in a split second.
-
허혜욱.
작품의 이미지는 유리의 정지된 어느 순간을 담고 있습니다. 차가움을 대변하는 유리의 본성은 실상 뜨거움에 있습니다. 성형을 위해 뜨겁게 가열된 액화유리는 제 멋대로 흘러 가다가 온도가 낮아지면 서서히 움직임을 줄여 나가고, 어느 시점에서 정지합니다. 입체작업에서는 이상으로만 존재하는 구성과 구조가 평면작업에서 날개를 달고 날아오릅니다. 자유입니다! 이미지 속에 눈이 보입니다. 눈은 언어를 배제한 무심하고도 냉엄한 소통의 도구입니다. 의식하지 못한 채 우리는 무표정한 얼굴로 무언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긍정, 부정, 비난, 질투, 연민, 사랑, 관심과 무관심. 시선은 드러내고 싶지 않은, 하지만, 결국 드러나는 인간본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
Huh Hyewook.
The image of the work contains a moment of stillness in the glass. The nature of glass, which represents coldness, is actually hot. Liquid glass, heated for molding, flows as it pleases, but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its movement gradually slows down and stops at some point. In three-dimensional work,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that exists only as an ideal takes on wings and soars in two-dimensional work. It's freedom! Eyes are visible in the image. Eyes are a tool of indifferent and cold communication that excludes language. Without realizing it, we carry on a silent conversation with an expressionless face. Positivity, negativity, criticism, jealousy, pity, love, attention and indifference. The gaze deals with issues of human nature that one does not want to reveal, but eventually comes to light.